키오스크 [kiosk]
키오스크 [kiosk]
요약: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본래 옥외에 설치된 대형 천막이나 현관을 뜻하는 터키어(또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말로서 간이 판매대·소형 매점을 가리킨다. 정보통신에서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가리킨다.
멀티미디어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발권·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프린터·네트워크·스피커·비디오카메라·인터폰·감지기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장착하며, GUI를 이용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으로는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복구하는 시스템에 연결된다. 푸시기능을 지녀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또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하면 화상회의시스템과 스캐닝·화면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음성인식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쇼핑몰에서 고객들에게 객장 안내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프랑스 파리에는 쇼와 영화를 안내하기 위해 많이 설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로 많이 사용되며, 박람회나 전문회의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정부와 교육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도입하면 서류 발급과 공과금 납부 등의 업무를 분담할 수 있고, 국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학에서는 특히 스마트카드(IC카드)와 연계된 기술을 통해 학교 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밖에 공항이나 국제회의장·호텔·유통업체 등에도 많이 설치된다. 앞으로 정보의 차별화를 통해 유료화될 것으로 전망되기도 하는 등 발전 가능성이 크다.
요약: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본래 옥외에 설치된 대형 천막이나 현관을 뜻하는 터키어(또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말로서 간이 판매대·소형 매점을 가리킨다. 정보통신에서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가리킨다.
멀티미디어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발권·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프린터·네트워크·스피커·비디오카메라·인터폰·감지기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장착하며, GUI를 이용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으로는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복구하는 시스템에 연결된다. 푸시기능을 지녀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또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하면 화상회의시스템과 스캐닝·화면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음성인식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쇼핑몰에서 고객들에게 객장 안내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프랑스 파리에는 쇼와 영화를 안내하기 위해 많이 설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로 많이 사용되며, 박람회나 전문회의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정부와 교육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도입하면 서류 발급과 공과금 납부 등의 업무를 분담할 수 있고, 국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학에서는 특히 스마트카드(IC카드)와 연계된 기술을 통해 학교 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밖에 공항이나 국제회의장·호텔·유통업체 등에도 많이 설치된다. 앞으로 정보의 차별화를 통해 유료화될 것으로 전망되기도 하는 등 발전 가능성이 크다.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